Study/네트워크

OSI 7 layer 개념 및 설명 , 계층 프로토콜

cosmohoo 2020. 8. 5. 10:48
반응형
응용 (Application)
표현 (Presentation)
세션 (Session)
전송 (Transport)
네트워크 (Network)
데이터 링크 (Data)
물리 (Bit)

 

 

 

물리 계층 :

 

최하위 계층으로서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됨.

데이터 전달.

에러 확인 기능 없음.

 

대표 프로토콜 : RS-232, X.25

 

 

데이터 링크 계층 : 

 

Point to Point 방식 적용됨. 

Mac 주소 적용함.

데이터의 단위는 프레임(Frame)

물리 계층에서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 수행.

 

대표 프로토콜 : Etherent(이더넷), PPP, HDLC

 

 

네트워크 계층 : 

 

라우팅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보내는 기능) 기능 있음.

IP주소를 헤더로 가지고 있음.

데이터 단위는 패킷(Packet)

 

대표 프로토콜 : IP ICMP IGMP

 

 

전송 계층 :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주고받게 해 줌. 

오류 검출 및 복구, 흐름 제어, 중복검사 수행.

Port번호 사용됨 

 

대표 프로토콜 : TCP, UDP

데이터 단위는 세그먼트(Segment)

 

 

세션 계층 :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정의함.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역할을 함. 

 

대표 프로토콜 : NetBIOS RPC WinSock... Socket 통신 기법

 

 

 

표현 계층 : 

 

송신자에서 온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응용계층 데이터 부호화, 변화 

수신자에서 데이터의 압축을 풀 수 있는 방식으로 된 데이터 압축

데이터의 암호화와 복호화 

 

대표 프로토콜 : MIME SSL TLS XDR

 

 

응용 계층 :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 

우리가 사용하는 가장 가까운 서비스 

 

대표 프로토콜 : HTTP, SMTP, FTP, TELNET

 

 


왜 이런 계층 모델을 생성해낸 것일까?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표준화하고 정확한 기준을 통해 통신하기 위해서입니다. 

-각 계층을 나눠 어느 부문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알기 위해서입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ISO가 제안한 표준 모델 (Mode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