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트 포스
-
백준 15651 - N과 M(3)백준 algorithm 2020. 6. 3. 21:43
=> 브루트 포스 문제입니다. => 기존의 N과 M 문제와의 차이점이라고 하면, visited [] 배열이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 해당 문제는 중복을 허용하기 때문에 visited가 없이 바로 코드를 짜면 가능합니다. https://codingham.tistory.com/142 백준 15650 - N과 M(2) => 브루트 포스 문제입니다. => 기존의 N과 M문제에서 힌트를 받아 풀 수 있습니다. => 오름차순으로 해야되는 것만 염두에 두면 풀 수 있습니다. https://codingham.tistory.com/41 백준 15649 - N과 M(1) 백트.. codingham.tistory.com https://codingham.tistory.com/41 백준 15649 - N과 M(1) 백트래..
-
백준 15650 - N과 M(2)백준 algorithm 2020. 6. 3. 21:23
=> 브루트 포스 문제입니다. => 기존의 N과 M문제에서 힌트를 받아 풀 수 있습니다. => 오름차순으로 해야되는 것만 염두에 두면 풀 수 있습니다. https://codingham.tistory.com/41 백준 15649 - N과 M(1) 백트래킹과 관련된 기초 문제이다. 본인은 백트레킹의 개념은 알지만 코드로 구현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어,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보며 썼다. 길이가 M이므로, cnt가 M이 될때까지 해당 Backtracking codingham.tistory.com => 위의 문제를 참조하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include #include #include bool visited[10]; //false로 초기화 int arr[10]; using namespace std; voi..
-
백준 1476 - 날짜 계산백준 algorithm 2020. 6. 1. 00:12
=> 브루트 포스를 활용해 우리가 알고 있는 연도 1년부터 올라가며 주어진 E S M과 같은 지 확인하면 됩니다. E S M과 비교하며 증감을 연속하는 변수 세 개를 설정합니다. (goingE, S, M) E S M 과 변수들이 같아질 때까지 while문을 통해 연속적으로 year의 값을 증가시킵니다. E S M 각 변수들이 지닐 수 있는 최대의 숫자까지 갈 경우 다시 1로 돌아가도록 합니다. E S M과 going 변수들이 모두 똑같아졌을 경우의 Year 변수를 출력합니다.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ptr); cout.tie(nullp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