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
<?xml version="1.0" encoding="UTF-8"?> 에러, 오류Spring/Spring Quick Start 2020. 7. 30. 14:59
=> 위와 같이 잘 되던 프로젝트에 에러 표시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확인해봐야 할 사항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java version , jre version, jdk version, server ver 확인하기 2. projects - preferences - build path , facets 들어가서 위의 사항 확인하기 3. 에러 나는 부분 지웠다가 다시 써보기 => 저는 1번 , 2번, 3번을 확인하여 3번으로 하여 되었습니다. => 가끔씩 Eclipse에서 자체적으로 에러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 위의 사항들을 확인하여 해결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 지웠다 다시 쓰니 해결되었습니다.
-
Spring Error /An error occured while filtering resources /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Spring/Spring Quick Start 2020. 7. 13. 10:30
Spring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 에러가 뜬 적이 있습니다. 어떠한 문제인지 해결하기 위해 빈 객체에 대한 ID와 매핑이 잘못된 것인지 확인하였지만 해당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이전까지는 프로젝트에 X자 오류가 있었지만, 제대로 실행이 되기에 엑스 표시를 무시했지만 해당 문제를 다시 해결해보기로 하였습니다. 문제 해결 방법만 알고 싶으시면 맨 아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Window -Show View - Problems => 위와 같이 들어가면 현재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n error occur while filtering resources => 위의 에러가 뜨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 해당 에러는 메이븐 업데..
-
-
[ERROR] Target runtime Apache Tomcat v8.0 is not defined.Spring/Spring Quick Start 2020. 7. 1. 11:14
스프링 프로젝트를 실습하는 도중에 프로젝트에 X 표시가 쳐져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Error를 확인해보니 Target runtime Apache Tomcat v8.0 is not defined. 라는 Error메세지를 보게 되었다. 방법만 알고 싶다면 맨아래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 확인을 해보면 프로젝트 target apache ver이 실제와 맞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 프로젝트 전체의 targeted runtime를 수정해야 한다. => Project 왼쪽 버튼 클릭 => Property => Targeted Runtimes(검색 or 스크롤하여 확인) => 본인이 설치한 Tomcat Server version 선택 => Apply => 위에 쓴 방법대로 실행해 보았다. => 방법대로 ..
-
Spring 프로젝트 생성법 (Mac, Eclipse)Spring/Spring Quick Start 2020. 5. 18. 22:28
환경 : Mac, Eclipse, java version(1.8), jre(se 13.0) => Spring 프로젝트 생성법을 적어보겠습니다. 1. File - New로 가면 Eclipse를 통해 만들 수 있는 여러 형식들이 나옵니다. => 여기에 Spring legacy Project가 나온다면 그것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2. Other - Spring -Spring Legacy Project => Other버튼을 누른 후 위 그림과 같이 스프링 프로젝트를 찾습니다. 3. 알맞은 스프링프로젝트 이름을 설정합니다. =>대문자와 소문자를 적절히 활용해 보기 쉽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최상위 패키지 지정 => 스프링은 패키지 경로에 최소 세 개 이상의 패키지가 지정되어야 버튼이 활성됩니다. => 저도..
-
Spring namespace 설정 (Eclipse && MAC)Spring/Spring Quick Start 2020. 5. 18. 22:20
스프링 설정 파일 중 namespace를 수정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본인은 Mac과 Eclipse를 사용하고 있다. => Spring의 기본 구조이다. 익숙해져야 한다. => src - resources - applicationContext =>의 구조를 띄고 있다. => applicationContext xml파일의 코드이다. => 스프링의 설정 파일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 이곳에서 빈 객체 생성과 namespace들을 관리한다. =>가장 아래에 source / Namespaces /Overview....라고 쓰여있는 것이 보인다. => Namespaces를 선택하자. => 본인은 aop 를 체크하였다. => 간단하게 namespaces 설정을 완료하였다. * 기존에 미리 pom.xml파일에 원하는..